[천주교 세례명] 안티오키아의 이냐시오 축일 10월17일
본문 바로가기

가톨릭/성인 세례명 축일

[천주교 세례명] 안티오키아의 이냐시오 축일 10월17일

안티오키아의 이냐시오 축일 10월 17일
 

성인 성인 이냐시오 (Ignatius)
축일 10월 17일 활동년도 35?-107년
신분 주교,순교자,교부 지역 안티오키아(Antiochia)
같은 이름

이그나티오,이그나티우스,이냐시우스

 

 

이냐시오는 순교를 그리스도께 대한 불붙는 사랑 그분과의 완전한 일치로 표현하면서 자신의 순교를 성체 신비와 연결시킨다.

‘가톨릭’이란 말을 처음 사용

이단에 빠지지 말 것 권고
‘순교는 주님과의 일치’강조

『불도 좋고 십자가도 좋고 맹수의 무리도 좋으며, 뼈를 비틀고 사지를 찢어도 좋으며, 팔다리를 자르고 온몸을 난도질해도 좋습니다. 이 세상의 목표도 지상의 모든 왕국도 저에게는 아무런 소용이 없습니다. 이 세상을 다스리는 것보다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죽는 것이 저에게는 더 낫습니다. 제가 찾고 있는 것은 우리를 위해 돌아가신 그분이며, 제가 원하는 것은 우리를 위해 부활하신 바로 그분입니다. 이제 출산의 고통이 저에게 가까이 왔습니다』(안티오키아의 이냐시오 서간중).

클레멘스와 마찬가지로 베드로와 바울로의 제자였고 안티오키아의 두번째 또는 세번째 주교였던 이냐시우스(Ignatius Antiochenus 35?∼107)는 로마 황제 트라야누스 시대에 그리스도교를 전파한다는 죄목으로 체포되어 안티오키아에서 로마로 압송되어 가는 도중에 일곱편의 편지를 썼다.

스미르나에서는 에페소, 마녜시아, 트랄리아, 로마 등에 편지를 썼고, 스미르나에서 로마로 가다가 트로아스에 체류하면서는 필라델피아와 스미르나 교회, 폴리카르푸스 주교에게 스미르나에서 보여준 친절에 대해 감사의 인사를 보냈다.

순교를 향해가는 길에서 그가 남긴 서간들은 「그리스도를 위해 죽고 싶은 사랑의 애절한 호소」였고 「하느님을 위해 산다는 것은 예수 그리스도를 본받는 것이고 이 본받음은 수난과 죽음에까지 가야 한다」는 절절한 신앙의 표현이었다.

이후 그는 로마의 원형 극장에서 간절히 바라고 각오했던 죽음을 당했다.

에우제비오, 요한 크리소스토모스 등 후대 교부들의 증언에 따를 때 로마서간 4, 1의 『나는 밀알, 맹수의 이빨에 갈려 그리스도의 깨끗한 빵이 될 하느님의 밀알이다』는 말씀에 근거 확실히 맹수들에 의해 순교했다는 사실이 반복 강조되고 있어 맹수형으로 순교했다는 것이 전승으로 내려오고 있다. 순교록들에 의하면 그의 뼈가 신자들에 의해 안티오키아로 옮겨졌다고 전해진다.

학자들은 그의 서간과 관련, 「치명을 위한 열망으로 재촉받는 마음의 고동」을 그만큼 절실히 표현한 것은 그리스도교 문학에 있어 그 유례를 찾아보기 어렵다고 평가한다. 또한 2세기 초엽의 교회 면모를 소개하는 것과 함께 유다인이 아닌 소위 이교도의 세계에 심겨진 그리스도 교회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고 덧붙인다. 이런 면에서 특히 초대 그리스도교에 있어 안티오키아의 위치를 고려한다 해도 이냐시오는 후대 교인들에게 대단히 중요한 「신앙의 증인」으로 기록된다.

그의 서간들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그는 10명 군인들에 의해 끌려가면서도 묵게되는 도시마다 몰래 찾아온 그곳 교회의 신자들에게 설교하면서 이단에 빠지지 말고 사도적 전통에 충실할 것을 권고했다.

폴리카르푸스 주교에게 보낸 편지에서는 선배 주교로서 후배 주교에게 사목자로서 지녀야할 자세와 덕을 가르쳐 주는 내용으로 꾸몄고 로마교회에 보낸 편지 및 다른 다섯 교회 공동체에 보낸 편지들에서도 그리스도 안에서 일치하고 교회 장상들에게 순명하라는 당부를 담았다.

그의 가장 큰 관심사는 그리스도를 통해 이루어진 하느님의 구속 사업이었다. 내 안에, 또 신자들 안에, 교회 공동체 안에 나타나고 실현되는 그리스도의 현존이었다. 즉 하느님은 세상과 인류를 죄의 상태에서 구원하시고 구원 역사에서 예언자들은 메시아를 위한 준비 과정이며 예수 그리스도는 구원을 완성시킨 분으로 설명했다.

순교를 그리스도께 대한 불붙는 사랑 그분과의 완전한 일치로 표현하면서 자신의 순교를 성체 신비와 연결시키는 면도 눈길을 끈다. 이냐시오는 자신이 「하느님의 밀」 「깨끗한 빵」이 되는 것으로 밝혔는데 밀이 맷돌에 갈려 가루가 되고 빵으로 만들어 지듯 순교로써 성체신비에 동참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이같은 영성에 대해서는 『평소 미사를 봉헌하면서 성체에 나타나는 그리스도 사랑의 신비를 너무나 잘 깨닫고 묵상하였기 때문』이라는 풀이가 따른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이냐시오는 「가톨릭」 교회란 말을 첫 번째로 사용한 교부이다. 그는 주교의 권위를 논하면서 『예수 그리스도가 계신 곳에 가톨릭 교회가 존재하듯 주교가 있는 그곳에 교회 공동체가 존재한다』고 말했다. 여기서의 「가톨릭」은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이루어지는 신앙과 사랑의 일치를 가르치며 그것은 곧 지역 교회간 유대를 지칭하는 「하나인 교회」를 강조하고 있다는 것이다. 「가톨릭」이라는 표현은 폴리카르푸스에 와서 더 풍부한 뜻을 지니며 「참된 교회」로 이해되어졌다.

학자들은 이냐시오가 들려준 가르침의 핵심을 「일치」로 정리한다. 즉 하나요 동시에 세 위격이신 하느님의 일치, 신성과 인성의 두 본성을 지니신 그리스도 위격의 일치, 그리스도인과 영성생활의 근본이신 그리스도와의 일치, 교회 안에서 신자들의 일치 등이다.

「그리스도교 문헌학의 진주」로 남겨져 있고 고대 교회사에서 이루어진 가장 빛나는 업적으로 꼽혀지는 그의 편지들은 죽음을 넘어서서 그리스도와 하나되고 하느님을 누리고 싶은 열망을 드러냄으로써 세속화 되어가는 오늘날 교회에 또 십자가의 의미가 퇴색되어 가는 현대 사회 안에서 「하느님을 잃지 않는 그리스도인이 될 것」을, 또 「그리스도교가 십자가와 죽음을 통해 하느님을 얻을 수 있는 그리스도교 신앙」임을 외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