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주교 세례명] 정하상 바오로 축일 9월20일
본문 바로가기

가톨릭/성인 세례명 축일

[천주교 세례명] 정하상 바오로 축일 9월20일



 

성인 정하상 바오로 (丁夏祥 Paul)
St. Chong Ha-sang Paul


한국 103위 성인 중 평신도 대표인
정하상(1795∼1839·바오로)성인.

피비린내 나는 박해로 한국교회가 쓰러질 위기에 처했을 때 그는 김대건과 최양업 등을 신학생으로 선발하고, 성직자 영입운동을 전개하는 등 교회 재건과 복음화에 진력했다. ‘평신도 모범’ 정하상 성인의 생애를 되돌아본다.

1801년에 조선 팔도를 ‘천주학쟁이’의 피로 물들인 신유박해. 이제 막 움트려던 한국 천주교회는 ‘신유’의 칼날 앞에 무참히 쓰러질 수밖에 없었다.
조선 천지의 유일한 성직자였던 주문모 신부가 체포되고, 한국 최초의 평신도 사도직단체인 ‘명도회’ 회장 정약종을 비롯한 평신도 지도자들마저 순교하자 천주교인들은 잇따른 박해를 참지 못해 목자잃은 양처럼 뿔뿔이 흩어졌다.
이때 정약종의 아들 6살배기 정하상은 경기도 마재부락에 있는 큰 아버지 정약용의집에 숨어들어 어머니 유소사로부터 신앙을 몸으로 배워 익히며 조선 천주교회의 재건을 꿈꾼다.
그로부터 15년 후인 1816년. 꺼져가던 조선교회의 등불을 밝히기 위해 정하상이 내놓은 묘책은 ‘성직자 영입’. 즉, 목자 없이 고통만 당할 것이 아니라 평신도들이 적극적으로 나서서 양떼를 돌볼 참목자를 모셔오자는 것이었다.

이때부터 그는 현석문(가롤로)과 유진길(아우구스티노) 등의 도움을 받아 중국까지왕복 5000리(2000km) 길을 무려 9차례나 왕복하며 ‘성직자 영입’에 구슬땀을 흘렸지만 당시 북경교회의 사정상 성직자 영입은 어렵게 됐다.
그러나 정하상은 여기에 굴복하지 않고 교황에게 직접 청원서를 보내 성직자 파견 문제뿐 아니라 조선 천주교인의 영적 구원을 위한 적극적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비범함을 보였다.
“저희는 교황 성하께 두가지 일을 겸손되이 제안합니다. 신부를 파견해 주시는 것이 저희들에게는 큰 은혜요 기쁨이 되리라는 것은 틀림없는 일이나, 이와 동시에 저희들의 욕구를 영속적으로 채워주고 장래의 후손들에게 영신적 구원을 보장해 줄 방법이 강구되지 않으면, 그것은 불충분한 일입니다.”
결국 교황청은 1831년 조선교구를 공식적으로 설정하고, 3년후부터 유방제·모방·샤스탕 신부를 조선에 파견해 천주교인들이 성사적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했다.
그러나 정하상의 말대로 단순한 성직자 영입은 교회 재건을 위한 근본대책이 될 수없었다. 조선인 사제를 양성해 교회의 초석을 놓는 것이 시급했다.
그래서 모방 신부는 조선에 도착한 즉시 신학생 선발에 착수하지만 생면부지의 조선 땅에서 누구를 뽑을 것인지 막막했다. 이때 앞에 나서서 주도적 역할을 한 사람이 바로 정하상이다.
천주교인들 사이에서 지도자역할을 했던 정하상은 평소 눈여겨 봐둔 소년 김대건·최양업·최방지거의 집에 모방 신부와 함께 찾아가 부모들에게 아들을 사제로 봉헌할 것을 권고한다.
“만일 당신의 아들을 서양에 보내어 천주교를 전습(傳習)하여 배우게 하면 10여년후면 다시 본국에 나와 모방 신부와 같은 사제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정하상은 이 말을 자신에게도 적용해 신학생의 길을 걷는다. 조선교구 제2대 교구장이던 앵베르 주교가 정하상의 순교적 열정과 교리에 대한 해박한 이해, 그리고 굳센 믿음에 탄복해 사제 양성을 위한 신학교육을 시켰던 것이다.
물론 정하상은 1839년 기해박해 때 순교함으로써 사제의 꿈을 이룰 수 없었다. 그러나 말로만 성직자의 필요성을 외치지 않고 성직자 발굴에 직접 뛰어들고 또 죽음을 무릅쓴 채 그 자신도 사제의 길을 가려했던 점은 말과 행동, 신앙과 생활의 일치를 보여주는 참신앙인의 모범이었다.
1816년부터 1839년 기해박해까지 20여년을 조선 천주교회의 부흥을 위해 전력한 정하상은 서양 선교사를 자신의 집에 모시고 살며 비서의 역할을 하는 등 성직자를 보좌, 자문하는 평신도의 직무에도 충실했다.
이런 모습을 보고 천주교인들은 그를 ‘장상’처럼 여기며 존경했고, 수많은 이들이 정하상의 도움으로 하느님을 믿게 됐다. 심지어 김대건 성인의 부친 김제준은 자신이 회개한 동기가 정하상의 권고 덕분이었음을 고백하였다.
“저의 백부께서 일찍이 천주학을 배웠으므로 저도 역시 이를 믿다가 신유박해때 나라의 금령이 지엄하여 다시 학습하지 못했습니다. 그 후 정하상이 제게 권하여 다시 배우게 하였으므로 저는 1년에 여러 차례 정하상의 집에 왕래하며 수계(受戒)하였습니다.”
기해박해때 체포돼 피비린내 나는 고문을 당하면서도 임금에게 박해의 부당함을 알리고 천주교의 진리가 무엇인지를 알리는 ‘상재상서(上宰上書)’를 제출한 정하상 성인. 그는 굳센 믿음의 생활로 그리스도의 복음과 진리를 증거한 평신도 중의 평신도다.
“대저 목숨을 걸고 생명을 바쳐서 천주의 가르침을 증거하고 천주의 영광을 나타냄은 저희들이 해야할 본분입니다.”('상재상서’본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