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 3절 가사인물 소개 정리
황금을 보기를 돌같이 하라
최영 장군의 말씀 받들자
황희 정승 맹사성 과학 장영실
신숙주와 한명회 역사는 안다
십만 양병 이율곡 주리 이퇴계 신사임당 오죽헌
잘 싸운다 곽재우 조헌 김시민 나라 구한 이순신
태정태세문단세 사육신과 생육신
몸 바쳐서 논개 행주 치마 권율 역사는 흐른다.

1. 최영
고려 말기의 명장으로, 청렴하고 검소한 인물로 유명합니다. “황금을 보기를 돌같이 하라”는 말은 그의 청렴한 정신을 대표합니다. 왜구를 토벌하고 공민왕을 도우며 고려를 지켰으나,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 이후 억울하게 죽음을 맞았습니다.
⸻
2. 황희
세종 시대의 대표 재상으로, 유연한 정치력과 덕망으로 오랜 기간 국정을 안정시켰습니다. ‘황희 정승’이라는 말은 지혜롭고 청렴한 정치인의 대명사로 통하며, 백성과의 공감 능력으로 존경받는 조선 최고의 명재상 중 한 명입니다.
⸻
3. 맹사성
세종 대의 유능한 문신이자 정치가로, 인격과 학문, 행정 능력 모두에서 뛰어난 인물입니다. 청렴과 겸손의 상징으로 알려졌으며, 세종을 보좌하며 조선 초기 정치의 안정과 문화 발전에 크게 기여했습니다.
⸻
4. 장영실
조선 세종 대에 활약한 과학자로, 천민 출신이지만 재능을 인정받아 관직에 올랐습니다. 혼천의, 자격루, 앙부일구 등 뛰어난 과학기구를 제작해 천문과 시계 분야에서 조선의 기술력을 세계적인 수준으로 끌어올렸습니다.
⸻
5. 신숙주
조선 세종과 세조 때 활약한 문신으로, 외교와 언어, 역사에 능통했습니다. 일본과 명나라에 다녀온 사신 경험을 살려 《해동제국기》를 집필했고, 훈민정음 창제에도 기여한 인물입니다. 그러나 세조의 왕위 찬탈 후 신하로서 논란도 있습니다.
⸻
6. 한명회
세조의 즉위를 도운 공신으로, 권력 중심에서 조선 초기 정치를 주도한 인물입니다. 외척 세력으로서 정치적 영향력이 컸으며, 이후 세조의 정권을 안정시키는 데 기여했습니다. 실리적 정치인으로 평가받습니다.
⸻
7. 이율곡 (이이)
조선 중기의 대표적 유학자이자 정치가입니다. ‘십만 양병설’을 주장하며 국방의 중요성을 역설했고, 실천적 성리학을 강조했습니다. 율곡 이이라는 이름으로 더 잘 알려져 있으며, 조선 중기 개혁 정치의 이론적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
8. 이퇴계 (이황)
조선의 대표 성리학자로, 깊은 철학과 도덕 교육으로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주리론’을 중심으로 도덕적 인간상을 추구했으며, 학문적 깊이와 도덕성을 겸비한 유학자로서 조선 정신사에 큰 족적을 남겼습니다.
⸻
9. 신사임당
율곡 이이의 어머니이자 조선 시대 대표 여성 예술가이자 교육자입니다. 그림, 시, 자수 등에 능했으며, 자녀 교육에도 모범이 된 인물로 추앙받습니다. 강릉 오죽헌에서의 삶과 유산은 지금도 여성 교육의 상징으로 회자됩니다.
⸻
10. 곽재우
임진왜란 때 활약한 의병장으로, 경남 의령에서 자발적으로 군을 조직해 왜군을 맞서 싸웠습니다. 뛰어난 게릴라 전술로 여러 차례 전과를 올렸으며, 백성들과 함께 나라를 지킨 민중의 영웅으로 존경받고 있습니다.
⸻
11. 조헌
조선 중기의 성리학자이자 의병장입니다. 임진왜란 당시 왜군에 맞서 싸우기 위해 충청도에서 의병을 조직했고, 금산 전투에서 왜군과 치열한 전투를 벌이다 순절했습니다. 충절과 지식인의 모범으로 평가받습니다.
⸻
12. 김시민
진주대첩의 주역으로, 1592년 임진왜란 당시 조선 수군을 이끌고 진주성을 지켜낸 명장입니다. 열세한 병력으로 2만 왜군을 격퇴하며 민심을 되살렸고, 사기를 끌어올려 임진왜란 초기의 중요한 전기를 마련했습니다.
⸻
13. 이순신
임진왜란의 구국 명장으로, 한산도 대첩, 명량해전, 노량해전 등에서 연전연승을 거두며 조선을 구했습니다. 수군을 이끌고 절대 열세 속에서도 나라를 지킨 그의 정신은 오늘날까지도 국민적 존경을 받고 있습니다.
⸻
14. 사육신
단종 복위를 꾀하다 세조에게 처형된 여섯 명의 충신들입니다. 성삼문, 박팽년, 하위지, 이개, 유성원, 유응부가 포함되며, 목숨을 바쳐 충절을 지킨 이들로 조선 역사에서 충신의 상징으로 남아 있습니다.
⸻
15. 생육신
사육신과 달리 끝까지 벼슬에 나가지 않고 은거하며 단종에 대한 충절을 지킨 인물들입니다. 김시습, 원호, 이맹전, 조려 등으로 구성되며, 조선의 유교 정신과 신념을 지킨 대표적 지식인들입니다.
⸻
16. 논개
임진왜란 당시 왜장을 껴안고 남강에 몸을 던진 의기로운 여인입니다. 진주성 함락 후 왜장을 유인해 함께 순국함으로써 나라에 대한 충정을 보여주었습니다. 여성 의병의 상징으로, 진주의 ‘의암’으로 기념됩니다.
⸻
17. 권율
임진왜란 당시 조선 육군을 이끈 명장으로, 백성과 함께 싸운 행주대첩에서 대승을 거둔 인물입니다. 조정의 지원이 부족한 상황에서도 탁월한 전략과 지휘력으로 전세를 뒤집으며, 전란 극복에 큰 기여를 했습니다.
'일상다반사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란치스코 교황 생애 (2) | 2025.04.22 |
---|---|
ADHD 미루는 습관, 게으름? 실행기능? (1) | 2025.04.20 |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 5절 가사인물 소개 정리 (0) | 2025.04.17 |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 4절 가사인물 소개 정리 (0) | 2025.04.16 |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 2절 인물 소개 정리 (4) | 2025.04.16 |
2025년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신고 (0) | 2025.04.16 |
개헌투표란 무엇인가? (0) | 2025.04.15 |
커피산지 국가별 원두맛의 차이 (1) | 2025.04.15 |